클라우드 이용 모델이란
클라우드 이용 모델은 크게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커뮤니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로 나누어볼 수 있다. 클라우드 벤더사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더 있을 수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서비스 제공업체가 컴퓨팅 및 스토리지, 개발 및 배포 환경,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컴퓨팅 서비스를 주문형으로 공개 인터넷을 통해 조직과 개인에게 제공하는 모델이다.
- 운영 비용 절감
- 물리적 서버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서비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드는 운영 비용, 인력이 없다.
- 대규모 확장성
- 비즈니스가 성장함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이 가능하다.
- 온디맨드 리소스
- 온디맨드는 '주문형'으로, 메뉴를 주문하듯 쉽게 리소스를 추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 강력한 보안
- 중소기업 같은 경우에는 리소스(인력 또는 비용)이 부족하다.
-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해 보안성을 대형 클라우드 업체에게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
- 업체 종속
- 모든 클라우드 이용 모델의 단점이라고 볼 수 있다.
- 비즈니스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 클라우드 업체가 제공하는 가상 머신,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기술 등의 서비스에 종속 된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속도와 확장성 및 비용 절감이라는 퍼블릭 클라우드의 여러 가지 이점을 그대로 제공한다. 그러나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여러 조직에 서비스되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달리, 단일 조직에서만 사용된다.
NIST의 분류 기준으로는, 클라우드 인프라가 (여러 고객들로 구성되기도 하는) 단일 조직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비저닝(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배치, 배포해 두었다가 필요 시 시스템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되는 경우만을 말한다.
또,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호스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기업 스스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자체적으로 구입한 서버나 스토리지, 하드웨어 리소스를 기업 내부에 설치해 자사 전용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 및 운용하는 형태이다.
'호스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사용자별로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해서, 서버나 스토리지, 컴퓨팅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이다.
- 성능과 비용 최적화
- 자사의 조직 기준으로만 구축이 되므로 성능과 비용 면에서 최적화를 이뤄낼 수 있다.
그 외의 특징은 퍼블릭 클라우드와 비슷하다.
커뮤니티 클라우드 (Community Cloud)
여러 조직이 같이 공유하는 클라우드로, 배치 모델이나 목적, 정책, 보안 규제, 요구사항 등을 공유하고, 조직의 구성원이나 외부에 의해 관리되는 클라우드를 말한다.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 한국 기업은 같은 Family 사 끼리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과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 퍼블릭 클라우드에 비해, 구축 비용이 높은 편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클라우드 서비스(퍼블릭, 프라이빗, 커뮤니티)를 두 가지 이상의 환경을 활용하는 시스템 또는 서비스이다.
- 민감한 데이터를 온프레미스에 유지한 채로, 구축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데이터 주권법'과 연관이 있다.
- 데이터 주권법은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기업들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주권법을 파악하고 이를 이행할 데이터 센터 제공자를 선별해야 한다. 데이터의 물리적인 위치와 관련해서 제공자가 충분히 넓은 네트워크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해당 기업은 데이터 주권을 완벽하게 준수하지 못할지 모른다.
- 기술의 다양성 증대
- 퍼블릭 클라우드를 통해, 빅 데이터 처리 등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실행하기에는 실용적이지 않은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유연성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다른 스타일의 클라우드 배포로 쉽게 전환 가능하다.
- 공격 표면 확장
- 네트워크 인프라가 복잡해지면, 공격자가 취약점을 발견해 악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멀티 클라우드 (Multi Cloud)
조직에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분산을 위해 2곳 이상의 클라우드 벤더가 제공하는 2개 이상의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구성된 접근 방식이다.
- 특정 벤더 종속을 방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는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클라우드를 혼합하는 반면, 멀티클라우드는 동일한 유형의 서로 다른 클라우드를 혼합한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사과와 오렌지를 결합하는 것과 같고 멀티클라우드는 다른 유형의 사과를 결합하는 것과 같다. (참고하면서도 정말 이해가 잘 되는 비유다.)
참고자료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what-is-multitenancy
https://www.purestorage.com/kr/knowledge/what-is-private-cloud.html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what-is-multicloud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cloud/multicloud-vs-hybrid-clo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