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서버 k8s 로 이것저것 하다 되는 게 없어, 로컬에서 minikube 사용 겸 정리
minikube 설치
https://minikube.sigs.k8s.io/docs/start/
해당 작업이 다 되어 있다고 가정한 상태로 진행
deployment 배포
kubectl create deployment kubernetes-bootcamp --image=gcr.io/google-samples/kubernetes-bootcamp:v1
다음과 같이 테스트용 deployment 를 배포한다.
배포한 뒤에 kubectl get deployments 로 확인할 수 있다.
외부로 보이도록 설정
kubectl expose deployment/kubernetes-bootcamp --type="NodePort" --port 8080
expose 가 잘 되었다면, kubectl describe services/kubernetes-bootcamp 했을 때
다음과 같이 TargetPort기 위에서 지정한 포트 8080 이어야 한다.
+ 여기서 expose 를 하면 새로운 서비스가 생성된다. (kubectl get service 로 확인해볼 수 있다)
외부에서 바라볼 수 있게 포트를 8080으로 바꾸어 주었으니, port-forward 를 통해 외부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kubectl port-forward service/kubernetes-bootcamp 8088:8080
kubectl port-forward service/kubernetes-bootcamp <외부에서 볼 포트>:<외부에서 볼 수 있게 연 포트 포트번호>
8088이 아니라, 8080으로 동일해도 무관하다.
브라우저에 localhost:8080 또는 127.0.0.1:8088 로 해서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다.
아주 간단한 minikube 튜토리얼에 있는 과정 임에도, deployment 를 expose 하면 서비스가 생성되고 그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보니, 간단한 구조를 눈으로 직접 보고 익히기에 괜찮은 짧은 과정이었다.